Global Object 개요전역 객체(Global Object)는 JavaScript 환경에서 모든 전역 스코프에서 접근 가능한 객체로, 다양한 전역 프로퍼티와 함수를 제공한다. 브라우저 환경에서는 window 객체가, Node.js에서는 global 객체가 전역 객체 역할을 한다. 1. 빌트인 전역 프로퍼티Infinity: 양의 무한대를 나타내는 숫자 값.console.log(Infinity); // InfinityNaN: 숫자가 아님(Not a Number)을 나타내는 값.console.log(Number('abc')); // NaNundefined: 선언 후 값이 할당되지 않은 변수의 기본값. 2. 빌트인 전역 함수isFinite(): 전달받은 인수가 유한수인지 검사.console.log(isFi..
Front-end/javaScript
1. 엄격 모드 (Strict Mode)JavaScript의 엄격 모드(Strict Mode)는 코드의 오류를 줄이고, 안전한 코드를 작성하도록 돕기 위한 모드이다. 엄격 모드는 전역 또는 함수 범위에서 "use strict"라는 구문을 사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엄격 모드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암묵적 전역 변수 사용 방지: 변수를 선언하지 않고 값을 할당하려 하면 오류가 발생한다.this의 undefined 할당: 일반 함수에서 this는 undefined가 되며, 생성자 함수에서만 올바르게 사용된다.예약어 사용 제한: JavaScript에서 미래에 사용할 수 있는 예약어들을 변수나 함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엄격 모드는 코드를 더 엄격하게 검사하고 오류를 빨리 잡아내도록 도와준다."use..
1. 객체 생성자 함수JavaScript에서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객체 생성자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생성자 함수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 역할을 한다. 1.1 Object 생성자 함수Object 생성자 함수를 사용하여 빈 객체를 생성하고, 이후 프로퍼티나 메서드를 추가할 수 있다. 이 방식은 모든 객체 생성에 사용할 수 있지만, 객체 리터럴 방식이 더 간편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된다.const student = new Object();student.name = '유관순';student.age = 16;new Object()로 객체를 생성한 후, 필요한 프로퍼티를 하나씩 추가하는 방식이다. 1.2 생성자 함수생성자 함수(Constructor Function..
💡 JavaScript 함수1. 함수 정의 방법JavaScript에서 함수는 코드의 재사용성과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함수는 기본적으로 함수 선언문과 함수 표현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1.1 함수 선언문함수 선언문은 function 키워드를 사용하여 함수를 정의하며, 함수 이름을 반드시 가져야 한다.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된 함수는 호이스팅되기 때문에, 함수 선언 전에 호출할 수 있다.function greet(name) { return `Hello, ${name}!`;}console.log(greet('Alice')); // Hello, Alice! 1.2 함수 표현식함수 표현식은 함수가 변수에 할당되는 형태로 정의된다. 함수 표현식으로 정의된 함수는 익명 함수일 수도 있고, 이름을 가..
1. JavaScript 연산자연산자는 값을 연산하고 결과를 반환하는 기호이다. JavaScript의 연산자는 기본적으로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추가적인 연산자가 존재한다. 1.1 비교 연산자비교 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값을 비교하여 불리언 값을 반환한다.동등 비교 연산자 (==): 타입을 일치시킨 후 값이 같은지 비교하며, 암묵적 타입 변환이 발생한다.일치 비교 연산자 (===): 타입과 값이 모두 같은지 비교한다.console.log(1 == '1'); // true (타입 변환 후 비교)console.log(1 === '1'); // false (타입과 값 모두 비교) 1.2 논리 연산자논리 연산자는 두 피연산자 사이의 논리적인 관계를 평가한다.|| (OR 연산자): 첫 번째..
1. JavaScript 개요JavaScript는 웹 페이지에서 동작하는 경량 프로그래밍 언어로, 1996년 넷스케이프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후 여러 브라우저 간 표준화를 위해 ECMAScript 사양이 등장했고, 2015년에 나온 ECMAScript 6 (ES6)은 자바스크립트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자바스크립트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측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언어로 발전했으며, 이를 통해 Node.js와 SPA 프레임워크(예: Angular, React, Vue.js)와 같은 다양한 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JavaScript의 주요 특징인터프리터 언어: 별도의 컴파일 과정 없이 실행 단계에서 한 줄씩 해석하여 실행한다.프로토타입 기반 객체지향 언어: 클래스 기반 언어와 다르게 프로토타입을 활용한 ..